앞집 아저씨 입니다.
오늘은 주식용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의 주식용어
1. 주당순이익 (EPS :Earning Per Share)
2. 주가수익비율(PER :Price Earning Ratio)

-주당순이익 (EPS :Earning Per Share)
-주가수익비율(PER :Price Earning Ratio)
주식시장에서 퍼가 높다 퍼가 낮다라는 말을 자주 사용합니다. 무슨 뜻을 가지고 있으까? 퍼가 높다란 말은 기본적으로 고평가 되어 있고 가격에 거품이 있다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퍼가 낮다라고 표현하면 저평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또 시장에서 관심이 없다라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렇듯 시장에서 한 기업이나 섹터나 테마를 평가할때 기준을 잡을때 PER(퍼)를 자주 사용합니다.
EPS(주당순이익) : 기업의 당기순이익에서 우선주 배당금을 차감한 보통주 당기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이다.
-> 기업의 자본 규모에 관계없이 한 주당 수익을 나타내어 기업 간 수익성을 비교하는데 용이한 지표이다.
-> EPS = 당기순이익 / 주식수
-> EPS가 높을수록 주식의 투자 가치는 높다고 볼 수 있다.
-> EPS는 당기순이익 규모가 증가하면 높아지게 되고,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이나 증자로 주식수가 많아지면 낮아지게 된다.
-> 최근 주식시장의 패턴이 수익성을 중요시하는 쪽으로 눈이 바뀌면서 EPS의 크기가 중요시되고 있다.
-> PER(주가수익비율)계산의 기초가 된다.
PER(주가수익비율) :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수치로 계산되며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낸다.
-> 주식이 비싼가, 주식시장이 거품인가 판단하는 기준으로 많이 사용 한다.
-> PER은 현재 시장에서 매매되는 주식가격을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 한 주에 만 원하는 회사주식이 1년에 주당 1000원의 순이익을 낸다면 => PER 10 이 된다.
-> 한기업의 PER만 보는 게 아닌 동종 업계 PER를 보며 비교하면서 봐야 한다.
-> 같은 업종, 비슷한 규모의 경쟁사의 수준을 여러 개 비교할수록 평가대상 주식의 가격이 어떤 수준인지 가능하기가 쉬워진다.
-> PER은 순이익이 언제 기준인가 하는 부분도 유심히 살펴야 한다.
'주린이탈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공부] 재무제표 보는 방법 / 재무제표를 왜? 봐야하는가 (6) | 2021.03.08 |
---|---|
주식DPS 주당배당금 , 주식EV/EBITDA 기업시장가치/기업세전영업이익 (0) | 2020.05.29 |
주식SPS 주당매출액, PSR 주가매출비율 (0) | 2020.05.27 |
주식CPS 현금흐름 , 주식PCR 주가현금흐름비율 (0) | 2020.05.25 |
주식BPS (주당 순자산가치), 주식PBR(주가순자산비율) (0) | 2020.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