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옆집 아저씨입니다.
오늘은 회사에 안전성과 자산가치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BPS + PBR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오늘 알아볼 주식용어
1. BPS (주당 순자산가치) : 높을 수록 기업의 수익성 및 재무건전성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PBR(주가순자산비율) : 1 기준으로 낮으면 저평가 기업으로 해석 합니다.

BPS(Book-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가치
-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를 말한다.
- 기업이 활동을 중단한 뒤 그 자산을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1주당 얼마씩 배분되는가를 나타내는것
- 높을수록 수익성 및 재무건전성이 높아 투자가치가 높은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 주가를 BPS로 나눈 비율이 주가순자산비율 "PBR" 이다.
PBR(Price Book-value Ratio) 주당순자산비율
- 주가가 한 주당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한 주가기준의 하나이다.
-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비율로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이다.
- 주가가 순자산(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 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 순자산이란 총자본 또는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후의 금액을 말한다.,
- 장부산의 가치로 회사 청산시 주주가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를 의미한다.
- 어떤 기업이 PBR이 1이면 1주당 순 자산이 같은 경우이며 이 수치가 낮으면 낮을 수록 해당기업의 자산가치가 증시에서 저평가 된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회사가 망하고 나면 회사는 총자산에서 부채를 우선 변재해야합니다 그러고도 남는 자산이 순자산입니다.
반응형
'주린이탈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공부] 재무제표 보는 방법 / 재무제표를 왜? 봐야하는가 (6) | 2021.03.08 |
---|---|
주식DPS 주당배당금 , 주식EV/EBITDA 기업시장가치/기업세전영업이익 (0) | 2020.05.29 |
주식SPS 주당매출액, PSR 주가매출비율 (0) | 2020.05.27 |
주식CPS 현금흐름 , 주식PCR 주가현금흐름비율 (0) | 2020.05.25 |
주식EPS 주당순이익 , 주식 PER 주가수익비율 (0) | 2020.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