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를 공부하다 보면 기사에서나 또는 애널리스트 자료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 용어가 있는데 이 용어에 대해서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해보자.
1. 벨류에이션
2. 모멘텀
3. 펀더멘탈
4. 턴어라운드
#돋보기로 보지말고 크게 보자
"땡땡 기업 3분기 기업 실적 개선으로 인한 밸류에이션 재 평가가 기대된다" " 땡땡 기업 밸류에이션 매력적" 이런 말들을 들어보시든가 아니면 접해 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밸류에이션 (Valuation)은 기업의 적정주가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기업의 매출, 이익, 자산이나 현금흐름 등 다양한 경영지표의 변화를 분석해 종합적인 가치평가를 하는 것을 뜻합니다. "예 PER PBR EPS BPS.. 등등 "
밸류에이션이 매력적이다 다시말해 밸류에이션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가 나온다면 미래 기업의 가치가 좋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관성의 법칙?
모멘텀(Momentum) 원래는 물리학 용어입니다. 네이버 검색하면 "물체가 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변동하려는 경향"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주식 시장에서의 모멘텀은 ' 주가 상승세 혹은 하락세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를 뜻합니다. 주가가 계속적으로 하락세를 나타내면서 하락폭을 점차 줄여간다면 "모멘텀이 약해졌다"라고 표현합니다. 반대의 경우 주가가 상승세를 보일 때 상승폭을 줄이고 있다면 여기서도 "모멘텀이 약해졌다"라고 표현합니다.
즉 어떤 방향으로 추세가 이루어 졌을때 그 추세가 꺾이기 전 추세의 폭을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기업의 심장
펀더멘탈(Fundamental)은 근본적인, 본질적인 이란 뜻입니다.
주식 분야에 적용한면 주로 기업의 매출, 이익, 재무상태, 성장성 등을 분석해 판단하는 가치입니다. 즉 땡땡 기업 펀더멘탈 훼손이라고 기사가 나온다면 기업이 돈을 까먹고 있다고 봐도 무관합니다.
# 흑자에서 적자로 , 적자에서 흑자로 턴어라운드
턴어라운드(Turnaround) 란 넓은 의미에서 "기업회생"을 뜻합니다. 주식 시장에서 턴어라운드를 들으셨다면, 좀 더 좁은 의미로"종목 혹은 기업 실적이 적자를 기록했다가 흑자로 전환"되는 것을 뜻합니다. 업황 개선이나 구조 조정 등으로 수익성이 급격히 좋아져 기업내실이 큰 폭으로 개선되는 경우를 말하는데, 대개 이런 종목들은 경기 회복 초기에 주가가 상승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투자자에게 안겨주기도 합니다.
주식용어 "흑전","적축","적전","적환" 뭐지??
주식용어 "흑전","적축","적전","적환" 뭐지?? 기업의 실적 발표를 했는데.. 모르는 용어가 있다!! 쉽게 말해 아래와 같습니다. 흑전 = "흑자전환" 적축 = "적자축소" 적전 = "적자전환" 적환 = "적자
zzizzinom.tistory.com
'주식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기금 향후 스텐스 어디로? (1) | 2020.12.04 |
---|---|
연기금이란 ? 투자자 종류 알아봅시다 (0) | 2020.12.04 |
2020년3분기 매출액 증가율 상위 , 영업이익증가율 상위10위 종목은? (0) | 2020.11.21 |
주식용어 "흑전","적축","적전","적환" 뭐지?? (0) | 2020.11.21 |
유상증자&무상증자란? 유상증자후 주가 영향 ,무상증자후 주가 영향 (0) | 2020.10.23 |
댓글